2025. 4. 13. 18:23ㆍCalculation
❓ 문제
최근 산업 현장에서는 환경규제 강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배출가스 정화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특히 제철, 석유화학, 반도체 등 고온 공정이 포함된 산업에서는 연료 연소 및 반응 과정에서 이산화황(SO₂)과 일산화질소(NO)가 함께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 두 물질은 산성비, 광화학 스모그,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하는 주요 대기오염물질로 분류되며,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최근에는 공정 내에서 발생한 황화수소(H₂S)를 활용해 이산화황과 일산화질소를 동시에 제거하는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H₂S는 환원제로 작용하여 SO₂ 및 NO와 반응함으로써 고체 형태의 황(S)을 생성하게 되며,
이 과정은 유해물질 제거와 동시에 황 자원 회수까지 가능하다는 점에서 친환경적인 대안으로 평가되고 있다.
해당 공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 SO₂ + 2H₂S → 3S + 2H₂O
- NO + H₂S → S + H₂O + ½N₂
이 공장에서는 황화수소를 주입하여 배출가스 내 이산화황과 일산화질소를 동시에 제거하고 있으며,
반응을 통해 생성된 황을 고체 자원으로 회수하여 자원화하고 있다.
다음은 공정 조건이다.
- 배출가스 유량: 1200 Sm³/h
- SO₂ 농도: 1800 ppm
- NO 농도: 800 ppm
- 운전 조건: 하루 20시간, 월 26일 가동
- 반응은 100% 효율로 진행되며, 기체 1 mol의 부피는 22.4 Sm³로 가정한다
상기 조건을 바탕으로 다음 항목을 계산하시오.
- 한 달 동안 소비되는 황화수소(H₂S)의 양 (단위: Sm³/월)
-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황(S)의 총량 (단위: ton/월)
🧪 반응식
- SO₂ + 2H₂S → 3S + 2H₂O
- NO + H₂S → S + ½N₂ + H₂O
✍️ 풀이 과정
✅ 1단계. 배출가스 중 SO₂, NO 부피 계산 (Sm³/h)
✅ 2단계. 필요한 H₂S 부피 계산
- SO₂ 제거용: 2.16 × 2 = 4.32 Sm³/h
- NO 제거용: 0.96 × 1 = 0.96 Sm³/h
→ 총 H₂S 소비 = 5.28 Sm³/h
✅ 3단계. 월간 H₂S 사용량 계산
✅ 4단계. 황(S)의 생성량 계산
ⓐ SO₂ 반응 생성 S
- 2.16 / 22.4 = 0.09643 mol
- 생성 S = 0.09643 × 3 × 32 = 9.25 kg/h
ⓑ NO 반응 생성 S
- 0.96 / 22.4 = 0.04286 mol
- 생성 S = 0.04286 × 32 = 1.37 kg/h
→ 총 S = 9.25 + 1.37 = 10.62 kg/h
→ 월간 S = 10.62 × 20 × 26 = 5522.4 kg = 5.52 ton/month
✅ 최종 정답 요약 (변형 문제)
H₂S 사용량 | 2745.6 Sm³/month |
황 생성량 | 5.52 ton/month |
🏭 적용 산업 예시
정유/석유화학 | 탈황 공정, 폐가스 처리 | H₂S 재활용 + 오염 제거 |
제철소 | 소결/코크스 공정 | 배기가스 중 SO₂/NO 제거 |
반도체 | 에칭 후 폐가스 처리 | 초미세 NO/SO₂ 제거 |
폐기물 소각 | 배연가스 처리 장치 | NOx/SOx 동시 저감 |
🔁 마무리
이번 문제는 단순히 화학 반응식을 적용하는 걸 넘어서
실제 산업 설계에서 얼마나 많은 환원제(H₂S)가 필요한지,
생성되는 황을 어느 정도 회수할 수 있는지를 계산하는 데 유용하다.
이런 데이터는 배출가스 처리 설비, 저장탱크, 원료 계획 수립 시 매우 중요하게 활용된다.
'Calcul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하수 개발을 위한 투수계수 및 수위저하 계산 문제 (0) | 2025.04.13 |
---|---|
🧪 FeCl₃ 응집제 투입 시 알칼리도 소모량 계산 문제 (1) | 2025.04.13 |
관정 양수시험을 통한 투수계수 산정 (0) | 2025.04.13 |
CaCO₃ 열분해 반응을 통한 CaO 생성량 계산 문제 (0) | 2025.04.07 |
함수율과 슬러지 발생량의 관계, 쉽게 이해하기!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