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되는 CaCO3의 양 계산
2025. 3. 16. 22:26ㆍCalculation
728x90
반응형
한 정수처리장에서 지하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그런데 이 지역의 지하수는 탄산수소칼슘(Ca(HCO₃)₂)이 다량 포함된 경수(hard water)라서, 배관 내부에 탄산칼슘(CaCO₃) 침전물이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수처리 시설에서는 수산화칼슘(Ca(OH)₂)을 이용하여 경도를 낮추는 처리를 진행하고 있다.
운영자는 실험적으로 20g의 Ca(OH)₂를 사용하여 지하수와 반응시켰을 때 생성되는 탄산칼슘(CaCO₃) 침전물의 양을 확인하려 한다. 생성되는 탄산칼슘의 질량은 몇 g인가?
(단, Ca의 원자량은 40이며, 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Ca(OH)₂ + Ca(HCO₃)₂ → 2CaCO₃ + 2H₂O
정답 및 해설
-
- Ca(OH)₂의 몰질량 = 40 + 2(16+1) = 74 g/mol
CaCO₃의 몰질량 = 40 + 12 + 3(16) = 100 g/mol
질량비:
Ca(OH)₂ : 2CaCO₃ = 74 : 200
계산:
? = (2 × 100 × 20) / 74
= 4000 / 74
≈ 54.05 g
최종 답: 약 54.05 g
- Ca(OH)₂의 몰질량 = 40 + 2(16+1) = 74 g/mol
728x90
반응형
'Calcul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수처리장에서 응집제 투입량 계산 (0) | 2025.03.16 |
---|---|
하천의 BOD 감소 예측 (0) | 2025.03.16 |
폐기물 매립장에서의 매립가스(LFG) 생성량 계산 (0) | 2025.03.09 |
폐기물 분석 계산을 통한 최적의 처리 및 자원화 방안 (0) | 2025.02.27 |
폐수 중화 반응 계산 (0) | 202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