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액화천연가스) – LNG의 다양한 활용

2025. 3. 1. 17:19Petty Insight/Interesting!!

728x90
반응형

최근 LNG(액화천연가스)가 선박 연료로 각광받고 있음. 하지만 LNG는 선박뿐만 아니라 발전, 난방, 수소 생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음.
그리고 LNG의 주성분인 메탄은 과연 친환경적일까? LNG에 포함된 메탄이 그린 메탄인지, 아니면 화석연료 기반인지도 함께 알아봄.
 

🔹 LNG는 어디에 쓰일까?

LNG는 천연가스를 -162°C 이하로 냉각해 액화한 연료임.
기체 상태보다 부피가 600배 줄어들어 운반과 저장이 용이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음.

1. 발전소 연료 (LNG 발전)

  • LNG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발전 연료 중 하나임.
  • 기존 석탄 발전보다 온실가스 배출이 적고 발전 효율이 높음.
  • 한국, 일본, 유럽 등에서 석탄 발전을 대체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

2. 선박 및 자동차 연료

  • LNG 선박: 기존 벙커C유보다 황산화물(SOx)과 질소산화물(NOx) 배출이 적어 IMO(국제해사기구) 환경 규제에 적합함.
  • LNG 트럭 & 버스: 디젤 엔진보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고 연료비가 절감됨.

3. 가정 및 상업용 난방

  • 도시가스와 동일하게 가정과 상업시설 난방, 온수 공급, 요리용 가스로 활용됨.
  • 일부 지역에서는 LNG를 직접 저장해 사용함.

4. 산업용 연료

  • 철강, 유리, 화학 공장 등 고온이 필요한 공정에서 연료로 사용됨.
  • 기존 석탄·중유보다 연소 효율이 높고 탄소 배출이 적음.

5. 수소 생산 (LNG 개질)

  • LNG의 메탄(CH₄)을 이용해 수소(H₂)를 추출하는 기술이 있음.
  • 현재 수소 생산의 90% 이상이 천연가스 개질 방식(SMR, Steam Methane Reforming)으로 이루어짐.
  • 탄소 포집 기술(CCUS)과 결합하면 저탄소 수소 생산 가능함.

🔹 LNG의 성분 – 메탄만 있을까?

LNG는 메탄(CH₄)이 85~95%를 차지하지만, 일부 다른 탄화수소도 포함됨.
성분비율 (%)특징

메탄 (CH₄) 85~95% LNG의 주요 성분, 연소 시 CO₂ 배출이 적음
에탄 (C₂H₆) 1~10% 석유화학 산업에서 에틸렌 원료로 사용됨
프로판 (C₃H₈) 0.1~5% LPG(액화석유가스) 성분 중 하나
부탄 (C₄H₁₀) 0.1~2% 휴대용 가스레인지 연료로 사용됨
질소 (N₂) 0.1~1% 연소되지 않는 불활성 기체

🔥 즉, LNG는 메탄이 주성분이지만, 다른 탄화수소도 포함되어 있음.


🔹 LNG에 포함된 메탄, 과연 친환경적일까?

메탄은 크게 그린 메탄(Green Methane)과 화석 메탄(Fossil Methane)으로 구분됨.

1. 화석 메탄 (Fossil Methane)

  • 천연가스를 채굴하여 얻는 메탄임.
  • 일반적인 LNG에 포함된 메탄은 대부분 화석연료 기반이라 탄소 배출이 있음.

2. 그린 메탄 (Green Methane)

  • 바이오가스, 메탄화 기술 등을 통해 탄소중립적으로 생산된 메탄을 의미함.
  • 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메탄(Biomethane)이나,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해 합성한 e-메탄(e-methane)이 대표적임.
  • 그린 메탄을 LNG로 활용하면 기존 화석 메탄보다 탄소 배출이 줄어들어 친환경적임.

🔹 LNG, 정말 친환경적인가?

LNG는 기존 석탄·중유보다 청정한 연료지만, 100% 친환경적이라고 보기는 어려움.

LNG의 장점

  • 황산화물(SOx)과 미세먼지 배출이 거의 없음.
  • 발전 효율이 높아 온실가스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적음.
  • 기존 화석연료보다 친환경적이며, IMO 2020 규제 대응에 적합함.

LNG의 단점

  • 연소 과정에서 이산화탄소(CO₂)가 여전히 배출됨.
  • LNG 공급망에서 메탄 누출(Methane Leakage) 문제가 있음.
  •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25배 이상의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강력한 온실가스임.

🔥 결론적으로 LNG는 기존 연료보다 깨끗하지만, 메탄 누출 문제를 해결해야 진정한 친환경 에너지원이 될 수 있음.
 

결론

1️⃣ LNG는 기존 화석연료보다 친환경적이지만, 완전한 탄소중립 연료는 아님.
2️⃣ 메탄 누출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 수 있음.
3️⃣ 바이오메탄(Biomethane)과 e-메탄(e-methane) 같은 그린 메탄을 활용하면 LNG도 탄소중립적인 대체 연료가 될 가능성이 있음.
4️⃣ LNG는 현재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수소·암모니아 같은 완전한 친환경 연료로의 전환이 필요함.
🔥 즉, LNG는 현존하는 가장 현실적인 친환경 대체 연료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더욱 지속가능한 에너지로의 전환이 필요함.
 
📌 향후 과제:
✔ LNG 사용 시 메탄 누출 최소화 기술 개발
✔ 바이오메탄 및 e-메탄 같은 그린 메탄 확대
✔ 수소·암모니아 등 완전한 탄소중립 연료로의 점진적 전환
💡 이제 LNG를 넘어선 친환경 에너지 전환이 중요한 시점! 앞으로 어떤 기술이 주목받을지 지켜봐야 함.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