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27. 22:09ㆍPetty Insight/Sustainable Technologies in Focus
지속가능한 에너지와 탄소중립 기술에 관심이 많았고, 특히 산업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 왔음. 그러던 중 철강 산업이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에 대해 깊이 알아보고 싶어졌음. 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철강의 품질을 유지하는 이 기술이야말로 기후 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 요소라고 생각함.
1. 수소환원제철이란?🔍
기존 철강 생산 방식은 철광석을 고온에서 녹여 철을 추출하는 고로(Blast Furnace) 방식을 사용하며, 이 과정에서 석탄을 사용하여 탄소를 통해 환원 반응을 유도함.
하지만 이 과정에서 다량의 이산화탄소(CO₂)가 발생하여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함.
반면 수소환원제철(Hydrogen Direct Reduction, HDRI) 방식은 탄소 대신 수소(H₂)를 환원제로 사용하여 철광석을 환원하는 기술임.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은 온실가스인 CO₂가 아닌 물(H₂O)이기 때문에 탄소중립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함.
수소환원제철의 화학 반응식
Fe₂O₃ + 3H₂ → 2Fe + 3H₂O
철광석(Fe₂O₃)이 수소(H₂)와 반응하여 철(Fe)과 물(H₂O)이 생성됨. 기존의 탄소 기반 방식에서는 철광석이 일산화탄소(CO)와 반응하여 CO₂를 배출하지만, 수소환원제철은 물만 배출하여 환경적으로 훨씬 친환경적임.
2. 왜 수소환원제철이 중요한가?🌍
철강 산업은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7~9%를 차지할 만큼 탄소 배출이 많은 산업임. 기후 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철강업계는 새로운 친환경 생산 방식을 모색하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 수소환원제철이 주목받고 있음.
수소환원제철 vs 기존 고로 방식⚖️
비교 항목 기존 고로 방식 수소환원제철
환원제 | 코크스(석탄) | 수소(H₂) |
주요 부산물 | CO₂ (탄소 배출) | H₂O (물) |
탄소배출 | 매우 많음 | 거의 없음 |
필요 온도 | 1,500°C 이상 | 1,000~1,200°C |
경제성 | 기존 인프라 활용 가능 | 초기 투자비용 높음 |
3. 주요 기업과 연구 동향🏭
현재 전 세계적으로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인 기업 및 연구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음.
1) 포스코(POSCO) - HyREX
포스코는 국내 최초로 HyREX(Hydrogen Reduction)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음. 이는 직접환원철(DRI) 방식과 전기로(Electric Arc Furnace, EAF)를 결합하여 수소 기반 철강 생산을 목표로 함.
2) SSAB, LKAB, Vattenfall - HYBRIT
스웨덴의 철강사 SSAB, 광산업체 LKAB, 에너지기업 Vattenfall은 HYBRIT 프로젝트를 통해 세계 최초의 수소 기반 철강을 생산하는 데 성공함.
3) H2 Green Steel
스웨덴 기반의 H2 Green Steel 프로젝트는 2025년까지 탄소중립 철강을 상업적으로 생산할 계획임. 유럽에서 가장 진보된 친환경 철강 프로젝트 중 하나임.
4) 독일, 일본, 미국 등의 연구 동향
- 독일 Salzgitter AG는 SALCOS 프로젝트를 통해 수소 기반 철강 생산을 추진 중임.
- 일본 JFE Steel과 Nippon Steel은 정부 지원을 받아 수소환원제철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음.
- 미국 Cleveland-Cliffs는 DRI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저탄소 철강 생산을 연구하고 있음.
4. 기술적 난제 및 해결 방안⚙️
수소환원제철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이지만, 실용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도전 과제가 존재함.
1) 대량의 청정수소 공급 문제
수소환원제철에는 대량의 수소가 필요하며, 이를 친환경적인 방법(그린수소)으로 생산하는 것이 관건임. 현재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수소 생산 비용이 높아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임.
2) 기존 철강 공정과의 차이 및 경제성 문제
현재 대부분의 철강 공장은 고로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이를 수소환원제철로 전환하려면 막대한 초기 투자 비용이 필요함. 따라서 정부 지원 및 기술 혁신을 통한 비용 절감이 필요함.
3) 철강 품질 및 강도 유지 문제
수소 기반의 환원 과정이 기존 방식과는 다소 다르기 때문에, 철강의 품질과 기계적 특성을 유지하는 연구가 필요함. 특히 철강 내 수소 취성(hydrogen embrittlement) 문제를 해결해야 함.
5. 전망 및 결론🚀
수소환원제철 기술은 철강 산업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으며, 많은 기업과 정부 기관이 연구 및 투자에 집중하고 있음. 현재 기술적 난제들이 있지만,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정책적 지원을 통해 해결될 가능성이 큼.
한국의 경우, 포스코를 비롯한 국내 철강사들이 적극적으로 수소 기반 제철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정부 역시 ‘2050 탄소중립 전략’의 일환으로 친환경 철강 생산을 지원하고 있음.
앞으로 수소환원제철이 철강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글로벌 친환경 산업의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할 것임.
'Petty Insight > Sustainable Technologies in Foc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R + CCUS란? – 탄소중립을 위한 현실적 기술 조합 (0) | 2025.03.01 |
---|---|
탄소 포집 활용(CCU) 기술을 활용한 메탄올 생산 – 아이슬란드 CRI 사례 (0) | 2025.02.28 |
♻️ 폐기물이 에너지가 되는 혐기성 소화(Anaerobic Digestion) (0) | 2025.02.27 |
메탄올 vs. 메탄 vs. 암모니아 미래의 친환경 연료 경쟁인가, 보완인가? (0) | 2025.02.25 |
탄소를 연료로? 메탄올이 친환경 연료인 이유🛢️ (1) | 2025.02.25 |